"깊은 계곡이 어우러 져 절터를 둘러보면 신라 진평완의 원당사찰다운 품격을 느낄수 있습니다."
-법광사-
법광사 이 터는 포항시 신광면 상읍리 비학산에 있는 법광사지이다. 법광사라고도 하며 신라 진평왕 때에 원효가 왕명에 의해서 창건하였다고 전한다. 창건 당시에는 대웅전과 2층 금당향화전5층 석탑 등 525칸이 있었다고 한다. 828년(흥덕왕 3) 7월에 향조와 원적이 재산을 희사하여 석가모니불사리탑을 세우고 사리 22과를 봉안하였다고 한다. 1746년(영조 22)에 명옥 등의 비구니들이 5층탑을 중수하려고 헐었을 때 맨 아래층에 옥으로 만든 함 속에 22과의 석가모니 진신사리가 들어있음을 발견하고 다시 동함을 만들어 사리를 탑 2층에 봉안하고, 그 해 가을에 탑 앞에다 법당을 짓고 금강계단이라 하였다. 그러나 얼마 못되어 전소되었으며, 1871년(고종 8)에 규민이 폐허된 절을 중흥시키고자 하여 1876년부터 1886년까지 원통전을 비롯하여 득수당,상운각,독성각 등을 차례로 중건하였다. |
![]() |
1887년에는 5층 가운데 3층만 남아 있던 사리탑을 중수하였는데, 보수 후 꿈속에서 탑의 후면에 서 있는 부처를 보고 다음날 그곳을 파보니 1750년에 건립한 '사리탑중수기'가 발견되었다.
그 뒤 다시 화재로 소실되어 중건을 이루지 못한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. 현존하는 유물로는 석탑과 불상연화대좌,쌍귀부 등이 있다. 현재 4층까지만 남아 있는 사리석탑은 1968년에 도굴되었으며, 도굴당한 후에 탑 속에서는 탑지석 두 개가 발견되었다. 이는 신라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석회석으로 만들어졌으며, 대좌와 옥개까지 갖춘 돌비석이다. 법광사의 자세한 내력을 밝히고 있는데,
동국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. 불상연화대좌는 지름 2.2m, 둘레 7.3m이며, 이 대좌 위에는 거대한 불상이 봉안되었음을 추정하게 한다.
+ 관련설화 |
|
+ 찾아가는 길
포항에서 7번 국도를 따라 북으로 20여리 쯤 올라가면 옛 흥해읍에 이른다. 이곳에서 고속화 도로를 버리고 방향을 서쪽으로 바꾸어 비포장길을 따라 30리쯤 들어가면 포항시 신광면 소재지에 닿는다. 신광면 소재지에서 비학산 쪽으로 2km쯤 올라간 신광면 상읍리에는 법광사(法廣寺)라는 신라시대의 대사찰인 유적지가 있다.